워킹클래스 미스터 안의 예정에 없던 연 클리닉 방문 (2)

🔗 Click here to read the English original: Working-Class Mr. Ahn’s Unscheduled Visits to Dr. Yeon’s Clinic


포스트 코마

Hi Asuka,

안녕하세요 아스카,

Before falling into deep sleep, I was reviewing our email exchange as a warm-up, and your email just delivered some happiness that opened right up before bedtime.

잠에 빠져들기 전에 이메일 주고받은 거 다시 보고 있었는데, 당신의 메일이 딱 도착해서 잠들기 전에 행복 폭탄 맞은 것 같아요.

I think I’m going to have sweet dreams tonight.

오늘밤 엄청 달콤한 꿈을 꾸겠죠.

Firefighter Suho? That’s way too sexy.

소방관 수호라고? 완전 섹시한데요?


Let me take advantage of this local bricklayer’s opportunity for a moment.

로컬 벽돌공으로서의 잇점을 들어 얘기해볼게요.

Suho would naturally have gotten a military exemption due to his medical history.

수호는 병력 때문에 당연히 군 면제를 받았을 겁니다.

In my ocean of delusions, they start living together at Suho’s house after his grandmother passes away – let’s set this during Si-eun’s second semes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제 망상의 바다 설정에 따르면 이래요.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에 수호네 집에서 같이 살기 시작하는거죠. 시은이의 서울 의대 2학년 2학기 때쯤으로 잡으면 됩니다.

Suho would have transferred back to Byeoksan High as a second-year student in the second semester.

수호는 아마 벽산고에 1학년 2학기로 복학했을 거에요.

After 6 years of living together, Si-eun gets called to serve his country, and they face an unavoidable separation due to deployment to Iraq.

6년 동안 같이 살다 시은이는 이라크 파병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헤어지게 되죠.

This setup is pretty far-fetched, but let’s maximise our delusional allowance HAHAHA

설정이 좀 억지스럽지만 망상적 허용을 최대로 끌어올려서… 하하하

Si-eun’s exceptional medical skills start laying their foundation during this time, and somehow, during his military doctor deployment to Iraq, he skips both internship and residency training entirely.

시은이의 탁월한 의과 기술은 군의관 시절 기초를 다지기 시작했어요. 어떻게든 이라크 군의관으로서 파병 중에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다 건너뛰는거죠.

So 5 years pass, and during this time they only manage to meet once a year in Seoul, doing most of their catch-up conversations… with their bodies.

5년이 흐르는 동안 1년에 한 번만 서울에서 만나고, 밀린 대화는… 몸으로.

And when Dr Yeon opens his clinic, their romance enters a new phase?

그리고 닥터 연이 개인 클리닉을 개업하면서 이 둘의 로맨스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On the surface, it’s a beautiful fairy tale, but when my stress peaks on Thursday, the hidden dark subtexts of this beautiful fairy tale might emerge.

겉으로 보기엔 아름다운 동화지만, 목요일에 업무 스트레스가 최고조에 달하면 이 아름다운 동화 속 숨겨진 어두운 서브텍스트가 등장할지도 모릅니다.

This setup is borrowed from the twisted psychology of Dr Watson, who becomes addicted to dangerous situations and ends up limping in mundane daily life.

이 설정은 위험한 상황에 중독되어 결국 평범한 일상에서 오히려 다리를 절뚝거리게 된 왓슨 박사의 비틀린 심리에서 따왔어요.

Si-eun is also suffering from the same PTSD.

시은이도 같은 PTSD를 앓고 있는거죠.

When my work stress reaches its climax, I’ll probably churn out tons of dark fairy tales.

직장에서 얻는 스트레스가 절정에 달하면, 아마 어두운 동화를 양산할지도 모릅니다.

I might end up poisoning your boiling kettle HAHAHA

당신의 끓는 주전자에 독을 타버릴지도 모르겠네요 하하하

Hope you have a chill evening!

편안한 저녁 보내세요!

Your bricklayer Jen

당신의 벽돌공 젠


Ah, what I meant was that as a military doctor deployed to Iraq for 5 years serving the country, he would have automatically completed the internship and residency periods that are mandatory prerequisites before becoming a specialist doctor.

아, 제 말은 이라크에서 5년간 군의관으로 파병되어 군대에 복무하면서, 전문의가 되기 전에 필수인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자동으로 이수하게 된다는 설정이었어요.

And during Si-eun’s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years, Suho works as a clothing brand advertising model.

그리고 시은이가 의대 학부생일 때, 수호는 의류 브랜드 광고 모델로 일을 합니다.

Once he becomes an adult and starts exuding that masculine scent, there’s no way the entertainment industry recruiters stationed in Gangnam would leave him alone.

성인이 되고 남성미를 풍기기 시작하면, 강남에 진을 치고 있는 엔터 업계의 리크루터들이 그냥 둘 리가 없을걸요.

When Suho rides his bike to pick up Si-eun after late-night library study sessions, sharp-eyed female classmates whisper among themselves:

수호가 늦은 밤 도서관에서 공부를 끝낸 시은이를 데리러 스쿠터를 타고 오면, 눈썰미 있는 여학생들이 수군거립니다.

That guy… isn’t he the XXX magazine model? You know, ‘Sangkeumi’? (kinda pure figure)

저 애… XXX 매거진 모델 아니야? 있잖아, ‘상큼이’? (청순한 느낌)

That’s how Si-eun finds out about Suho’s side gig.

그렇게 시은이가 수호의 부업을 알게 되죠.

And once, Si-eun follows him to a photoshoot.

그리고 한번은 시은이가 수호의 촬영 현장에 따라갑니다.

Stylists, makeup artists… people everywhere touching Suho’s hair and face.

스타일리스트, 메이크업 아티스트… 사방에서 수호의 머리랑 얼굴을 만지는 사람들.

Watching Suho being ‘handled’ by all these other people from a distance, Si-eun’s eyes grow dark.

다른 사람들한테 이리저리 손을타는 수호를 멀찌감치서 보면서, 시은이의 눈빛이 깊어져요.

Si-eun still isn’t used to sorting through his emotions.

시은이는 아직 자기 감정을 정리하는 게 익숙하지 않습니다.

He can’t even define them.

정의조차 못 내려요.

Only much, much later does he get the feeling that emotion might have been jealousy.

한참 후에야 그 감정이 불편한 질투였을지도 모른다는 느낌을 받아요.

Well, it doesn’t matter anyway.

뭐, 어차피 상관없습니다.

Suho quit the magazine modeling job pretty quickly.

수호는 광고 모델 일 꽤 빨리 그만뒀거든요.

They never talked about why he quit.

왜 그만뒀는지는 서로 얘기하지 않았어요.

(This was supposed to be a cruel fairy tale I’d unleash when stress peaks, but I’ve already spoiled it HAHAHA

(이거 스트레스 최고조일 때 풀어놓을 잔혹 동화였는데, 벌써 스포해버렸네 하하하

Now I’m really going to hit the pillow.

이제 진짜 베개 치고 잘래.

Hoping to dream of firefighter Suho handling hoses this way and that… hmmm….)

소방관 수호가 호스 이리저리 다루는 꿈 꾸길 바라면서… 흠….)


할머니의 집

The house is the only inheritance Suho’s grandmother left to her grandson after she passed away.

그 집은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손자에게 남긴 유일한 유산입니다.

It’s an old house.

낡은 집이에요.

I want to make it the home where the two of them lived together for 6 years during Si-eun’s undergraduate years.

이 집을 시은이의 학부 시절 6년간 둘이 같이 살았던 둥지로 셋팅해보고 싶습니다.

I’m forcibly changing the setting lol so that it couldn’t fit a double bed, they had to sleep on mats spread on the floor.

설정을 억지로 바꿔보면, 하하 더블 침대는 못 들어가고, 바닥에 요를 깔고 자야 하죠.

On energetic weekends, I’ll poetically describe the old scents that emanate from that house.

기운 넘치는 주말이 오면, 그 집에 베어있는 오래된 냄새들을 시적으로 묘사해볼게요.


This is the neighbourhood supermarket that Suho and Si-eun – who were ‘rumoured to be suspicious friends’ in the neighbourhood – used to frequent.

동네에서 ‘수상한 친구사이’로 소문이 나버린 수호와 시은이가 자주 들르던 동네 슈퍼마켓입니다.

Their secret dating way was buying ‘Melona’ ice cream there and sitting on the bench in front of the supermarket to share it.

둘의 비밀스런 데이트 방식은… ‘메로나’ 아이스크림을 사서 슈퍼 앞 벤치에 앉아 나눠 먹는 거였어요.

비밀스러운 연애

from Asuka

아스카로부터

I really should print these out and enshrine them somewhere.

출력해서 어딘가에 모셔둬야겠어요.

I’ve already downloaded them onto my hard drive hahaha

이미 하드 드라이브에 다운로드 받아놨어요 하하하

Suho’s grannie’s place is a perfect setting for the blooming of young romance. So is the neighbourhood mart.

수호 할머니 댁은 젊은이들의 로맨스가 피어나기 완벽한 배경이네요. 동네 마트도 그렇고 말이에요.

I imagine people whispering behind the boys whenever they go out.

두 소년이 동네를 걷고 있으면 동네 사람들이 뒤에서 수군거리겠죠.

But when Suho turns around to look them in the eye, they gulp and scurry away.

근데 수호가 돌아서서 눈을 딱 마주치면, 수군거리던 사람들이 침을 꿀꺽 삼키고 후다닥 도망가는거죠.

Is this sort of BL still quite taboo or even forbidden in Korea?

이런 종류의 BL이 아직 한국에서 꽤 금기시되거나 금지되는 분위기인가요?

Or are there distinct attitudes towards this from different social strata or different generations?

아니면 사회 계층이나 세대에 따라 뚜렷하게 다른 태도를 보이는 걸까요?

One curious head nurse

궁금한 수간호사


I simply can’t get this slice of life out of my head.

수호와 시은이의 일상의 한 조각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가 않네요.

Work ends around 4 AM.

수호의 배달일은 새벽 4시쯤 끝나요.

When he punches in their shared door code, Si-eun wakes up from studying to sleep.

공유하는 도어락 번호를 누르면, 공부하다 잠든 시은이가 깨어나요.

Seeing Si-eun’s messy hair with a few strands sticking up from static electricity, Suho smiles faintly.

정전기로 몇 가닥 삐죽 솟은 시은이의 헝클어진 머리를 보고, 수호가 희미하게 미소 짓습니다.

Si-eun opens his half-closed eyes and shuffles to the entrance, where Suho’s taking off his shoes.

시은이는 반쯤 감긴 눈을 뜨고 수호가 신발을 벗고 있는 현관으로 비틀비틀 다가갑니다.

Si-eun wraps his arms tight around Suho’s waist.

그리고 수호 허리를 꽉 감싸 안아요.

Suho’s windbreaker is saturated with Seoul’s crisp autumn dawn air from the seasonal transition.

수호의 바람막이는 환절기 서울의 상쾌한 가을 새벽 공기로 흠뻑 젖어 있습니다.

Si-eun hugs that windbreaker – and all that air it holds – as tight as he can.

시은이는 그 바람막이를, 그리고 그 안에 담긴 모든 공기를, 있는 힘껏 껴안아요.


It’s so loving and so real. It has been humming in my mind the whole morning.

너무 사랑스럽고 너무 실제 같은걸요. 아침 내내 제 머릿속에서 윙윙거렸어요.

I’m going to incorporate what I can into the soup.

제가 할 수 있는한 제 수프에 녹여 넣어볼게요.

Thanks for cooking, as always.

늘 그렇듯 요리해줘서 고맙습니다.

Head Nurse, pretending to work.

일하는 척하는 수간호사.


수호의 바람막이

Hi, Asuka!

안녕하세요, 아스카!

I was doing all that groundwork lol, because I wanted to capture that windbreaker saturated with the chilly transitional autumn air lol

이 모든 기초 작업을 한 이유는, 하하, 환절기의 차가운 가을 공기로 흠뻑 젖은 바람막이를 포착하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I’m glad you liked it!

당신이 좋아해줘서 다행입니다!


About my delusion of Suho doing magazine modelling as a side gig – I said Si-eun felt ‘jealous’, but that doesn’t really seem like a fitting emotion for Si-eun.

수호가 부업으로 매거진 모델링 하는 망상에 대해서는요, 시은이가 ‘질투’를 느꼈을지 모른다고 했는데, 그게 시은이한테 딱 맞는 감정은 아닌 것 같습니다.

I’m thinking of revising it to Si-eun feeling ‘slightly uncomfortable’ when I post it on my blog later.

나중에 블로그에 올릴 때 ‘살짝 불편함’을 느꼈다고 수정할까 생각 중이에요.

Maybe to satisfy my lol oil money sources lol audience who might cover my blog maintenance costs (I’m kidding) – just trying to make you laugh!

제 블로그 유지비 대줄지도 모르는 뜨거운 나라의 오일머니 관객들을 만족시키려고… (농담이에요) – 그냥 당신을 웃게 만들려고!

If Suho had actually been keen on the entertainment industry (really, there’s no way those Gangnam recruiters would’ve left that face alone… they’re not blind after all), Si-eun would’ve been his most enthusiastic supporter.

만약 수호가 진짜로 연예계에 관심이 있었다면 (진짜, 강남 리크루터들이 저 얼굴을 그냥 둘 리가 없잖아요… 장님도 아니고), 시은이는 가장 열성적인 서포터였을 겁니다.


I got tomorrow off.

저는 내일 쉬어요.

I’m making a video right now – it’s a DP and Weak Hero crossover analysis.

지금 영상 만들고 있어요 – DP랑 약한영웅 크로스오버 분석이에요.

The quality is still not very good, but I feel like I finally poured out everything I’ve been wanting to say.

퀄리티는 아직 별로지만, 드디어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을 다 쏟아낸 느낌입니다.

The main topic of this video is ‘windbreaker’, which will probably make you chuckle.

이 영상의 메인 토픽은 ‘바람막이’인데, 아마 미소짓게 되실거에요.

Your bricklayer Jen

네 벽돌공 젠


수호 신과 구월의 향기

Hi Jennie,

안녕 제니,

I will definitely catch the vid when it comes out.

영상 나오면 꼭 보겠습니다.

Here’s a small bowl to keep you warm first:

먼저 몸을 따뜻하게 데워 줄 작은 그릇을 여기에 둡니다:

Although he feigned being exasperated with his most persistently ill patient, the truth was that Dr Yeon very much looked forward to Mr Ahn disrupting his routines.

가장 끈질긴 방식으로 만성적인 환자한테 짜증 난 척했지만, 사실 닥터 연은 미스터 안이 자신의 일상의 루틴을 방해해주길 정말 바랬다.

On days when he did not visit because of work demands, Dr Yeon felt the time crawl by.

미스터 안이 일 때문에 방문하지 않는 날엔, 무려 시간이 기어가는 것처럼 느꼈다.

Such days were random, and he always feared Mr Ahn had been injured at his work site.

미스터 안의 갑작스런 방문이 없는 날은 그또한 갑작스러웠기에, 닥터 연은 미스터 안이 작업 현장에서 다친 건 아닐까 두려웠다.

He remembered the ice-cold days of Suho’s coma.

그는 수호가 혼수상태였던 얼음처럼 차가웠던 날들을 기억했다.

Days of numbness and sadness that stretched into weeks and then months.

몇 주, 그리고 몇 달로 늘어난 무감각과 슬픔의 날들.

Dr Yeon could endure medical school and military service, including a little-known stint in Iraq that had lasted for five years; even before that, he already had the grit to weather the ruthless bullying of his high school days.

시은은 의대와 군 복무를, 잘 알려지지 않은 복무 형태인, 5년간의 이라크 파병까지 견뎌낼 수 있었다. 이미 고등학교 시절, 무자비한 왕따를 버텨낼 배짱도 있었던 것처럼.

But if anything ever happened to Suho again, Dr Yeon knew he would fall apart.

하지만 만약 수호에게 다시 무슨 일이 생긴다면, 닥터 연은 자신이 무너질 거라는 걸 알았다.

This was the one thing he could not bear.

그것만큼은 견딜 수 없었다.

The trauma of years ago had not been expunged, only buried with work and kept out of the waking world.

몇 년 전의 트라우마는 지워진 게 아니라, 일로 묻혀서 깨어 있는 세상 밖에 보관된 거였을 뿐이었다.

But it lived on in Dr Yeon’s dreams.

하지만 그 트라우마는 닥터 연의 꿈속에서 계속 도사리고 있었다.

Whenever it visited in the silence of tired nights, he became Si-eun the high schooler again, the boy who gained the world and lost it.

피곤에 절은 밤, 고요함에서 그 악몽이 찾아올 때마다, 닥터 연은 고등학생 시은이로 돌아갔다. 세상을 얻었다가 잃어버린 소년.

During the six halcyon years living with Suho after Eunjang High, he sometimes woke up shivering with sharp breaths, damp with sweat.

은장고교를 졸업하고, 수호와 함께했던 평온했던 6년 동안, 그는 가끔 날카로운 숨을 몰아쉬며 땀에 젖어 떨면서 깨어났다.

He would then lurch to the desk, weak from the weight of bad dreams, and memorize anatomical notes as a way back to sleep while he waited for Suho to return from his delivery runs.

그러면 악몽의 무게로 약해진 채 책상으로 비틀거리며 걸어갔고, 배달 일에서 수호가 돌아오길 기다리며, 해부학 노트를 외우며 다시 잠들 방법을 찾곤 했었다.

When Suho punched in their shared door code, Si-eun would open his half-closed eyes and shuffle to the entrance, where Suho took his shoes off.

서로 공유하는 도어락 번호를 수호가 누르면, 시은은 반쯤 감긴 눈을 뜨고 수호가 신발을 벗는 현관으로 비틀거리며 걸어갔다.

He loved early autumn in particular, when his hair stood up from the static (that never failed to draw a smile from Suho).

그는 특히 초가을을 좋아했다. 정전기로 머리카락이 솟을 때 (항상 수호의 미소를 끌어내던).

Suho’s windbreaker would be saturated with the crisp air of dawn.

수호의 바람막이는 새벽의 상쾌한 공기로 흠뻑 젖어 있었다.

Si-eun would hold him tight and breathe in the scents of September, of Seoul, and of Suho.

시은은 그를 꽉 안고 9월의, 서울의, 그리고 수호의 향기를 들이마셨다.

It chased all the boogeymen away.

그렇게 모든 부기맨들을 쫓아냈다.

On days when Suho stayed home, the terrors weakened, as if out of respect for the presence of a guardian deity, though they still persisted.

수호가 집에 있는 날엔, 공포가 약해졌다. 마치 수호신의 존재를 존중하듯이, 그래도 여전히 지속되긴 했지만.

But with Suho around, when an attack came, Si-eun would awake to find himself in Suho’s arms.

하지만 수호가 곁에 있으면, 발작이 찾아와도, 시은은 이내 깨어나 수호의 품에 있는 걸 발견했어.

In summer, this could be uncomfortably warm, but the nightmares chilled Si-eun from within, so he was always deeply grateful for the snuggle, and sweated out the remainder of his sleep with a light smile.

여름엔 불편할 정도로 더울 수 있었지만, 시은이의 내면에서부터 악몽이 차갑게 올라왔기 때문에, 시은은 언제나 그 포옹에 깊이 감사했다. 그렇게 가벼운 미소와 함께 못다한 잠을 땀으로 흘려보냈다.

The comforting embraces happened because Suho, who slept in class like a log, would rouse instinctively upon hearing Si-eun’s soft whimpers and half-formed sleep words.

수업 시간에는 통나무가되어 잤던 수호는 시은이의 낮은 흐느낌과 언뜻 잠꼬대를 들으면 불현듯 깨어나 이 위안같은 포옹을 주었다.

Sometimes he heard Beomseok’s name.

가끔 범석이의 이름이 들리기도 했다.

Once, he heard “don’t die, Suho, please”, and in the thick darkness where a dreaming Si-eun could not see him, Suho’s toughness broke apart as he cried silently and hugged the precious, wounded soul that had curled into a fetal position.

한번은 “죽지 마, 수호야, 제발” 이라는 소리를 들었고, 악몽에 빠진 시은이는 볼 수 없는 짙은 어둠 속에서, 태아처럼 몸을 웅크린 채 조용히 흐느끼는 상처난 영혼을 안으며 수호의 강인함도 산산조각 나버렸다.

He wet Si-eun’s hair with his tears as he kissed the top of his head.

시은의 정수리에 입을 맞출 때 눈물로 시은의 머리카락을 적시기도 했다.

“I’m here, I’m here. Si-eun-ah, I’m here,” he had whispered over and over until Si-eun’s breathing eased.

“나 여기 있어, 여기 있어. 시은아, 나 여기 있어,” 시은이의 호흡이 편안해질 때까지 수호는 계속 속삭였다.

That alone had made him want to quit night delivery work, but when he discussed it with Si-eun the next morning, the boy genius had dismissed the idea.

당장이라도 야간 배달 일을 그만두고 싶었지만, 다음 날 아침 이 문제에 대해 말을 꺼내자, 천재 소년은 수호의 생각을 일축해버리고 말았다.

“Day delivery work is more dangerous; it’d give me more nightmares if anything. Plus, they’re just dreams. They can’t do a thing.”

“낮에 하는 배달이 더 위험해; 악몽이 더 심해질 걸. 게다가 그냥 꿈이잖아. 꿈은 꿈일 뿐이야.”

They can crush your soul, thought Suho.

네 영혼이 짓밟힐 수 있어, 수호는 생각했다.

But he downplayed his own worries.

하지만 이내 자신의 걱정을 내려놨다.

“Awww, but I just want to hug my favorite bolster.”

“아, 그냥 내가 제일 좋아하는 베개 안고 싶은거거든.”

“Don’t think I don’t know you are rubbing yourself on your favorite bolster.”

“최애 베개에 몸 비비는 거 내가 모를거라고 생각하지마.”

“You were awake? Why didn’t you say so? We could have eaten some ice-cream.”

깼어, 이미? 왜 깨어났단 말 안했냐? 아이스크림 먹었을 수 있었잖아.”

“Oh, you bought some?”

“오, 사왔어?”

asked Si-eun brightly, hoping Suho had brought back some Melona from the neighborhood mart.

시은이가 반색하며 물었다. 수호가 돌아오다 가게에서 메로나를 사왔길 바라며.

“No, but we have popsicles full of fresh cream don’t we?”

“아니, 신선 크림 가득한 아이스바가 있는데 왜 사?”

replied Suho with a twinkle, staring below Si-eun’s waist.

수호가 눈을 반짝이며 대답했다, 시은이 허리 아랫춤을 쳐다보면서.

“Mine is sea-salt caramel, yours is vanilla.”

“내 건 바다소금 카라멜 맛이 나고, 네 건 바닐라 맛이 나잖아.”

“… … yah… Ahn Suho…you…you must be the healthiest guy in this neighborhood, really.”

“… … 야… 안수호… 너… 니가 이 동네에서 제일 건강한 놈일꺼야, 진짜로.”

That morning, they had dessert for breakfast.

그날 아침에, 둘은 아침식사로 디저트를 먹었다.

It also chased the boogeymen away.

그렇게 또한 부기맨들을 쫓아내버렸다.


답변

Sorry for the weird drama, you can ignore the last three emails including this one.

이상한 드라마를 연출해서 미안해요. 이거 포함해서 마지막 세 개 이메일은 무시해도 됩니다.

I just checked the sent mail again, and all the sentences are intact, even from the first sending. I have no idea why…

방금 보낸 메일 다시 확인해봤는데, 첫 번째 메일부터 모든 문장이 다 온전한데 왜 계속 발송이 된지 모르겠어요.

I feel like I’m being pranked by gmail, like what the heck hahahaha

지메일한테 농간당하는 기분이에요, 대체 뭐죠 하하하

Glitch in the matrix I tell you.

매트릭스 오류같아요.


Asuka! Don’t worry

아스카! 걱정 마세요.

I’m just happy I got to read what’s sure to be the most thrilling chapter three times!

가장 짜릿한 챕터를 세 번이나 읽게 돼서 그저 행복할 따름입니다.

Just uploaded a new vid and now I’m heading to shower.

방금 새 영상 올렸고 이제 샤워하러 갈거에요.

Burned the midnight oil for the first time in a while.

오랜만에 밤샘 작업을 했어요.

Time to get ready for bed while sipping the tea you brewed for me.

당신이 끓여준 차 홀짝이면서 잘 준비하러 갑니다.


Hi Asuka,

안녕 아스카,

I archived everything on my blog before Big Brother Google could collapse our arc lol

빅브라더 구글이 우리 아크를 무너뜨리기 전에 블로그에 아카이빙 해버렸습니다.

I wanted to fit everything in one post, but apparently, Google loves giving users drama – couldn’t add any more text to the first post, so I had to split it into part two.

한 포스트에 분량을 다 담고 싶었는데, 구글이 유저들한테 시련을 주는 걸 좋아하나 봅니다. 첫 포스트에 더 이상 텍스트를 추가할 수 없어서, 파트를 둘로 나눴어야 했어요.

Added some black and white photos while updating, too.

업데이트하면서 흑백 사진들도 더 추가했습니다.

Since everything on the blog is a feast of metaphors, allegories, and allusions, I guess I wanted the photos to also have that film photography vibe that oscillates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haha.

블로그에 올리는 모든 게 은유, 알레고리, 암시의 향연이니까, 사진도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는 필름 사진 느낌이 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Time to slowly savour the soup you’ve brewed this weekend – with my amateur critique, I’ll put my heart into making your new hot tea come to a boil.

이번 주말에 당신이 끓여준 수프를 천천히 음미하겠습니다. 제 아마추어 비평과 함께, 당신의 새로운 차를 끓일 수 있게 진심을 다할게요.


Oh, to answer your question about BL.

아, BL에 대한 질문에 답하자면요.

Like I mentioned before, it’s like saying, (there’s actually enough food to bend the table) ‘there’s not much prepared, but please eat a lot.’

전에 말한 것처럼, (실제로는 상이 휘어질 만큼 음식이 많은데) ‘별로 준비한 게 없지만 많이 드세요’라고 하는 거랑 비슷합니다.

So basically, this country has tons of euphemisms and double-speak.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이 나라는 완곡어법이랑 이중화법이 엄청 많아요.

I’ve watched many relocated foreign colleagues around me struggle with these Korean linguistic quirks.

주변의 많은 외국인 동료들이 이런 한국어 언어 습관 때문에 고생하는 걸 봤죠.

People probably love BL as a commercial product but find ‘actual’ BL burdensome.

사람들은 아마 BL을 상업적 상품으로는 좋아하지만 ‘실제’ BL은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습니다.

Especially here, where they hush-hush about checking out, mental health issues, and homosexuality – though for #1, it’s already well-known we’re world champions.

특히 여기는, 자살, 정신 건강 문제, 동성애에 대해 쉿쉿하는 편이죠. 일번의 경우, 우리가 세계 챔피언인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기도 하죠.

For mental health issues… probably everyone’s suffering, but no one talks about it openly.

정신 건강 문제는… 아마 다들 고통받고 있지만 아무도 공개적으로 얘기하지 않습니다.

Looking too weak to be responsible for anything at work isn’t a penalty anyone wants.

직장에서 어떤 일을 책임질 수 없을 만큼 약해 보이는 건 누구도 원하지 않는 불이익을 줄테니까요.

And the last one? No one’s opening up because that’s just easier for everyone…

그리고 마지막 거? 아무도 드러내지 않는 건 그게 모두에게 그냥 더 쉬우니까 그럴겁니다…

Yet it’s ironic that BL content is the hottest-selling thing in the media industry.

그런데 BL 콘텐츠가 미디어 산업에서 가장 잘 팔리는 게 아이러니해요.

Jen

Oh my,

오 이런,

I just saw the picture of that popsicle sticking up in the sun, hahahahahaha, it’s so pretty and so funny at the same time.

태양 아래 솟아오른 아이스바 사진을 방금 봤는데, 너무 예쁘면서 동시에 너무 웃겨요.

Thanks for enhancing the visits to the clinic (and to grannie’s house) with these tasteful pictures.

세련된 사진들로 클리닉 방문(그리고 할머니 댁 방문)을 풍성하게 해줘서 고맙습니다.

They do have that summer dream vibe.

정말 여름의 꿈 같은 분위기에요.

So authentic.

너무 진짜 같고요.

I did have a feeling BL as an artistic product is very hot-selling in Korea.

예술적 상품으로서의 BL이 한국에서 정말 잘 팔린다는 느낌은 받았어요.

I was more curious what the attitude to actual BL relationships is.

제가 더 궁금했던 건 실제 BL 관계에 대한 대중적인 태도가 어떤가 하는 거였어요.

I gathered that more than 1/4 of Korea identifies as some sort of Christian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Christianity is generally disapproving of BL.

한국의 1/4 이상이 어떤 형태로든 기독교인인 걸로 알았는데 (동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높은 비율), 그리고 기독교는 일반적으로 BL을 부정적으로 보잖아요.

But I suspect the true resistance to actual BL is due to a strong cultural conservatism that runs through the country, rather than religious reasons.

하지만 실제 BL에 대한 진짜 저항은 종교적 이유라기보다는 나라 전체를 관통하는 강한 문화적 보수주의 때문인 것 같군요.

This might make reading and watching BL kind of like secretly enjoying forbidden fruit, no?

그래서 BL을 읽고 보는 게 금단의 과일을 몰래 즐기는 것 같은 느낌일 수도 있겠어요, 그런가요?

(I could be very wrong here. This is all pure speculation from someone who can’t even speak Korean. I hope I am not being very offensive!)

(제가 완전히 틀릴 수도 있습니다. 이건 한국어도 못하는 사람의 순전한 추측입니다. 기분 상할까 염려되네요!)

BL is also very hot-selling in Japan, where there are entire buildings devoted to selling such literature (to a mostly female clientele).

BL은 일본에서도 엄청 잘 팔리죠. 거기엔 그런 문학을 파는 것만 전담하는 건물 전체가 있어요 (주로 여성 고객들한테).

But as for actual BL relationships, in Japan, no one really cares one way or another.

하지만 실제 BL 관계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아무도 어느 쪽으로든 별로 신경 안 써요.

They say Japan is highly homogenized and ‘hive-minded’ rather than individualistic….mmmm….. yes and no, in fact I lean more to ‘no.’

일본이 개인주의적이기보다는 매우 동질적이고 ‘집단 사고적’이라고 하는데….음….. 예스 앤 노, 사실 전 ‘노’ 쪽이라고 봅니다.

It’s more like, the (city) Japanese try to mind their own business and not care about their neighbors’ preferences.

오히려, (도시의) 일본인들은 자기 일만 신경 쓰고 이웃의 선호에는 신경 안 쓰려고 합니다.

So reading BL openly in, say, Akihabara or Shinjuku doesn’t have the effect of tasting forbidden fruit.

그래서 아키하바라나 신주쿠에서 공개적으로 BL 읽는 건 금단의 과일을 맛보는 효과가 없어요.

And real BL dating, or being a person like Nina from DP… city people don’t really care, it’s like ‘you do you’.

그리고 실제 BL 데이트나, DP의 니나 같은 사람이 되는 것… 도시 사람들은 별로 신경 안안 쓰구요. ‘네 멋대로 해’ 이런 식이에요.

Not sure why I wanted to explore this haha

왜 이걸 탐구하고 싶었는지 모르겠네요 하하

I guess I wanted to ‘feel the milieu’ better, to know what Si-Eun and Suho have chosen to live through (even though it’s happening in deluluverse.)

그냥 ‘분위기를 느껴’보고 싶었던 것 같아요, 시은이와 수호가 (망상 유니버스에서지만) 살아가기로 선택한 게 뭔지 알기 위해서.

Oh and soup Part 2 should be boiled within the next two days.

아 그리고 수프 파트 2는 앞으로 이틀 안에 끓일 겁니다.

Head nurse, kitchen prepping

주방 준비 중인 수간호사


서울

Hi Asuka,

안녕하세요 아스카,

Sitting in a cafe before my commute home, waiting for the train and grinning like an idiot reading your email.

퇴근길에 기차를 기다리면서 카페에 앉아서는 당신의 이메일 읽으며 바보처럼 웃고 있어요.

That Melona popsicle is probably older than I am – it’s been Korea’s beloved stick treat for decades.

저 메로나 아이스바는 아마 저보다 어른일거에요. 수십 년간 한국인들에게 사랑받는 막대 간식이거든요.

I pictured our two puppies sharing one: Si-eun holding the wooden stick while early-twenties Suho devours more than half.

우리 두 강아지가 하나를 나눠 먹는 거 상상했어요: 시은이가 나무 막대를 잡고 있는 동안 20대 초반 수호가 반 이상 꿀꺽 삼키는 거.

I imagined them walking home after boxing practice by the Han River, their silhouettes fading into the distance. (Suddenly all my work frustrations just melted away)

한강에서 복싱 연습 끝나고 집으로 걸어가는 걸 상상했는데요, 그들의 실루엣이 멀리 사라지는 모습을요. (갑자기 직장에서 받은 모든 스트레스가 녹아버렸어요)

Found that photo on Pinterest.

그 사진은 핀터레스트에서 찾았습니다.

I was envisioning their place – the house Suho’s grandma left him, somewhere in Seoul’s old quarters, shabby and weathered.

둘이 함께 사는 집을 상상하고 있었어요 – 수호 할머니가 남긴 집, 서울 구도심 어딘가에 있는, 낡고 녹슨 집을요.

Beom-seok’s family obviously lives in some posh villa overlooking the Han from Gangnam or central Seoul.

범석이네 가족은 당연히 강남이나 서울 중심부에서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고급 빌라에 거주할거에요.

Si-eun’s parents probably made a strategic move to Gangnam’s most academically competitive district right before he started high school.

시은이 부모님은 아마 고등학교 입학 직전에 강남에서 가장 학업 경쟁이 치열한 지역으로 전략적으로 이사했을 거라고 봅니다.

For Suho to attend Byeoksan High, assuming school districts go by address, he’d need to be in the Gangnam zone, so he and Grandma probably rented space there.

수호가 벽산고를 다니려면, 주소대로 학교가 배정되는 걸 가정하면, 강남 구역에 있어야 하니까, 그래서 할머니랑 그 지역의 집에 세를 살고 있을겁니다.

So when I’m dreaming up this house in delululand where college-aged Si-eun and high-schooler-again Suho live together – grandma’s only inheritance in some forgotten, undeveloped corner of Seoul, all rickety and worn,

그래서 제가 망상랜드에서 대학생 시은이와 고교생으로 복학한 수호가 함께 사는 이 집을 꿈꿀 때 – 서울의 잊혀지고 개발되지 않은 변두리에 위치한 할머니의 유일한 유산, 온통 삐걱거리고 낡았는데,

I’m thinking “this doesn’t quite add up…” but what can we do?

“이 설정이 잘 안 맞는데…”라고 생각하지만 어쩔 수 없죠?

HAHAHA

하하하하

And if our two puppies are going to bloom their romance in grandma’s old house, there definitely won’t be any fancy keypad locks to punch.

그리고 우리 두 강아지가 할머니의 낡은 집에서 로맨스를 피워낸다면, 누르고 들어가는 팬시한 키패드 도어락 같은 건 분명히 없을 겁니다.

Instead, Suho will come home from his delivery runs in Seoul’s bitter October dawn air, pushing open that paint-chipped jade or blue metal gate.

대신, 수호는 서울의 쌀쌀한 10월 새벽 공기 속에서 배달 일을 마치고 집에 와서, 페인트가 다 벗겨진 옥색이나 파란색 철제 대문을 열고 들어올거에요.

The screech of metal will reach Si-eun’s ears as he waits with his anatomy books.

쇠 삐걱거리는 소리가 해부학 책을 보며 그를 기다리는 시은이의 귀에 닿겠지요.

(Ah… drowning in the depths of delusion again, lol)

(아… 다시 망상의 깊이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네, 하하)


Oh, and Korea’s fortunate to have almost zero religious conflict.

아, 그리고 한국은 종교 갈등이 없어서 다행입니다.

(For a divided nation sandwiched between superpowers like Japan and China, with our geographically cursed location, adding religious strife would just be cruel.)

(일본이랑 중국 같은 강대국 사이에 끼어 있는 분단 국가인데다가, 지리적으로 저주받은 위치에서, 종교 분쟁까지 더해지면 그건 그냥 잔인한 거겠죠.)

Being ethnically homogeneous helps… but it’s less about religious influence and more about deep-rooted Confucian culture.

한 민족이라는 게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종교적 영향보다는 뿌리 깊은 유교 문화에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요.

We obsess over “face” – how we appear to others.

우리는 “체면”에 집착합니다 – 남들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Si-eun’s mother is exactly that type, I think.

시은이의 엄마가 정확히 그 타입인 것 같아요.

The first thing she did when she brought her son home in S2 was stage loving mother-son photos.

시즌2에서 아들을 집에 데려왔을 때 제일 먼저 한 게 스튜디오에 가서 다정하게 모자 사진 찍는 거였어요.

Both gorgeous and smiling tenderly, sure, but her son was actually lying awake with severe depression and guilt.

둘 다 아름답고 다정하게 미소 짓고 있죠, 확실히, 하지만 그녀의 아들은 실제로는 심각한 우울증과 죄책감으로 잠도 못 자고 있습니다.

She doesn’t even know he’s carrying the weight of Suho’s lost youth, something he can’t afford to bear.

그녀는 아들이 수호가 잃어버린 청춘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다는 것조차 모르고요, 감당할 수 없는 무게를 짊어지고 있다는 것을요.

The subtitles said “Your friend Suho’s grandmother came looking for you,” but it was actually “That grandmother of your friend named ‘Suho’ came looking for you.”

자막은 “네 친구 수호 할머니가 널 찾아왔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네 친구 ‘수호’라는 애 그 할머니가 널 찾아왔어”였어요.

Si-Eun probably didn’t elaborate, but maybe she lacks the bandwidth to look deeper into her son’s heart, or instinctively senses it might stray from her idea of “normal” and chooses not to know.

시은이는 아마 자세히 말하지 않았겠지만, 어쩌면 그녀는 아들의 마음을 깊이 들여다볼 여유가 없거나, 본능적으로 자신이 세워둔 “정상” 개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걸 감지하고 알지 않기로 선택한 걸 수도 있습니다.

Still, Si-eun leaving for Singapore to study, leaving Suho behind for his mother’s sake – that was striking.

그래도, 시은이가 엄마를 위해 수호를 두고 싱가포르로 유학 간 것 – 인상적이었어요.

He’s such a warm kid.

정말 따뜻한 아이입니다.

Wow, I’m all over the place…

와, 저 완전 산만하네요….

Anyway, having many Japanese colleagues gave me lots of cultural insights.

어쨌든, 일본인 동료들이 많아서 문화적인 통찰에 대해 얻은 적이 많아요.

Japan is definitely much more open about sexuality and treats it as recreation.

일본은 확실히 성에 대해 훨씬 개방적이고 오락으로 취급하더라고요.

In Korea, we’re too busy worrying about others’ opinions to enjoy things openly.

한국에서는 남들 시선 걱정하느라 너무 바빠서 공개적으로 즐기진 못할거에요.

People get uncomfortable when sexual topics come up in groups.

모두가 함께있을 때 성적인 주제가 나오면 사람들이 불편해하고요.

This probably won’t change, and honestly, I don’t think it needs to.

아마 바뀌지 않을거고, 솔직히 바뀔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I’m a local here too, but honestly, I don’t expect much from this country.

로컬이지만, 솔직히 이 나라에 많은 걸 기대하지 않아요.

I just live here because I was born here, haha

그냥 여기서 태어났으니까 여기 사는 거라고 할게요, 하하

Head nurse, I’ll savor the soup Part 1 you’ve brewed during my train ride home.

수간호사, 귀갓길 기차 안에서 당신이 끓여준 수프 파트 1을 음미할게요.

Jen

수호신과 구월의 향기 리뷰

Your soup kept me warm on the train.

당신의 수프로 인해 귀갓길이 따뜻했어요.

I was grinning so hard that the grandma across from me kept staring lol

너무 웃고 있어서 맞은편 할머니가 계속 쳐다보더라고요.

Here’s my amateur take on your soup – as always, humour me

여기 수프에 대한 아마추어 감상입니다 – 늘 그렇듯 재밌게 받아주세요.

Hope your busy weekend tastes like sea-salt caramel.

바쁜 주말에 즐기는 바다소금 카라멜 맛이 나길 바랍니다.


J: Dr Yeon secretly wants his patient to never get better. What a terrible doctor, right?

J: 닥터 연은 내심 그 환자가 절대 호전되질 않길 바래. 정말 끔찍한 의사네요, 안 그래요?

J: This scheming doctor… time “crawling” by…

J: 음모를 꾸미는 의사… 시간이 “기어간다”니…

Will he ever get needy enough to pout at Mr Ahn?

미스터 안에게 삐지게 될만큼 애타게 될까요?

I read this viral tweet about all those texts Si-eun sent to comatose Suho… perfect spelling, every single one… felt like he was being needy.

코마상태인 수호한테 시은이가 보낸 그 모든 문자들에 대한 바이럴 트윗 읽었어요… 완벽한 맞춤법, 하나하나… 어리광 부리는 것 같다란 트윗이었죠.

Broke my heart reading it.

읽으면서 가슴이 아프더라고요.

Makes me wonder – did Suho read them all after waking up?

궁금해졌어요 – 수호는 깨어난 후 그 문자들을 다 읽었을까요?

How did that feel?

어땠을까요?


J: Clinging to life support.

J: 생명 유지 장치에 매달려 있는.

barely hanging on by a thread, the adults pieced together, my chest hurts again.

어른들이 조각조각 이어놓은 실날에 의해 버티고 있는, 제 가슴이 또 아파오네요.


J: That puffy face from too many sleeping pills.

J: 수면제를 과 복용으로 부은 얼굴.

Arms that wouldn’t sync with his steps.

걸음걸이에 맞지 않는 팔.

Empty expression.

텅 빈 표정.

except when he’d spot traces of Suho in Baku, Gotak, Jun-tae…

바쿠, 고탁, 준태한테서 수호의 흔적을 발견할 때만 빼고…

(I’m covering my face)

(제 얼굴 가립니다)


J: Med school girls swooning, med school guys seething with jealousy… then Iraq, where his surgical skills made him untouchable… (getting hot just imagining it)

J: 의대 동기 여학생들은 기절하고, 의대 남학생들은 질투로 부글부글… 그리고 이라크에서 익힌 외과 처치 실력은 그를 건드릴 수 없게 만듭니다… (핫하네요)


J: Si-eun will never experience anything more intense again (and “intense” feels deliberately loaded here)

J: 시은이는 다시는 그보다 더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지 못할겁니다. (여기서 “강렬함”은 무거운 의미를 담고 있어요)

So in his mundane daily life, he’s not physically limping like Dr. Watson, but mentally he’s pushing it all down into the dark depths.

그래서 평범한 일상에서는 왓슨 박사처럼 다리를 절뚝거리는 건 아니지만, 정신적으로는 모든 걸 어두운 깊은 곳으로 밀어 넣고 있을거라고 봐요.


J: “Halcyon years” breaks and mends my heart. Is this all just a dream?

J: “평온했던 세월” 이 말이 제 마음을 부수고 또 고치네요. 이게 다 꿈인 걸까요?

I imagine Si-eun sometimes gently tracing Suho’s eyebrows while he sleeps, just to prove it’s real.

가끔 수호가 자는 동안 부드럽게 그의 눈썹을 따라 그리는 걸 시은이를 떠올려요, 수호가 진짜라는 걸 증명하기 위해.


J: In that shabby house – grandma’s only inheritance – there’d be no fancy keypad, just Suho pushing through that paint-chipped jade metal gate.

J: 저 허름한 집 – 할머니가 남겨준 유일한 유산 – 에는 팬시한 키패드 같은 건 없고, 그냥 수호가 페인트 벗겨진 옥색 철제 대문을 밀고 들어오는 걸거에요.

But still, Si-eun shuffling toward his returning Suho?

하지만 여전히, 일 끝나고 돌아온 수호를 향해 비틀거리며 걸어가는 시은이라뇨?

Heart-wrenching and adorable. (Melting again)

가슴이 아프고 사랑스러워요. (다시 녹아내림)


J: I knew you’d love Suho’s windbreaker soaked in Seoul autumn air.

J: 서울 가을 공기에 흠뻑 젖은 수호의 바람막이를 당신이 좋아할 줄 알았어요.

Thank you for that.

고마워요.

They say smell is the sense that never lets you go.

후각은 절대 놓아주지 않는 감각이라고 하잖아요.


J: You can’t see while sleeping, but in dreams, the boogeymen keep tormenting him.

J: 자는 동안엔 볼 수 없지만, 꿈속에서 부기맨들은 계속 그를 괴롭혀요.

So, reading it as a sleeping child, calming down to familiar scents? Pure romance.

그래서, 잠들어 있는 아이로서 익숙한 향기에 진정되는 거군요? 순수한 로맨스입니다.


J: (Eyes getting misty) Does Si-eun know that Suho hears his sleep talk…?

J: (눈이 촉촉해짐) 시은이는 수호가 자기 잠꼬대 듣는 거 알까요…?

No way…

설마…


J: He doesn’t know Suho hears his sleep talk, but somehow knows perfectly well that Suho uses him as a pillow and sometimes rubs against him pretty hard??

J: 자신의 잠꼬대 듣는 건 눈치 못채는데, 어떻게든 수호가 자기를 베개로 쓰고 가끔 꽤 세게 비빈다는 건 완벽하게 알고있네요??


J: Si-eun could never make jokes like this to Suho, but Suho can throw out these cheeky lines… makes me tingle with joy.

J: 시은이는 수호한테 이런 농담 절대 못 던질텐데, 수호는 이런 건방진 대사를 던질 수 있어요… 기쁨으로 짜릿해집니다.


J: I understood this metaphor instantly and need to confess this sin at church this Sunday.

J: 이 은유를 즉시 이해했고 이번 일요일에 교회에서 이 죄를 고백하겠습니다.


J: Guess they won’t need milk delivery service. (Monthly/yearly milk subscriptions delivered at dawn are common here – I still use one)

J: 우유 배달 서비스는 필요 없겠네요. (새벽에 배달되는 월간/연간 우유 구독이 여기선 흔해요 – 저도 아직 쓰고 있어요)


J: Even the boogeymen fled from watching these two puppies do their morning mouth exercises 😂

J: 부기맨들도 이 두 강아지가 모닝 마우스 운동하는 거 보고 도망쳤겠지 😂


GPT could never match the sweetness, wit, and romance of your secret notes.

GPT는 절대 네 비밀 노트의 달콤함, 재치, 로맨스를 따라올 수 없을거에요.

With respect,

존경을 담아,

Jen


Curious. Did both puppies work their mouths at the same time?

궁금합니다. 두 강아지가 동시에 입을 움직인 건가요?

Or was one puppy busy with his tongue while the other had tears in his eyes, mouth open?

아니면 한 강아지의 혀는 바쁘고 다른 강아지는 눈에 눈물이 맺힌채로 입만 벙긋하고 있었구요?

If the former, then one spoon was facing south while the other faced north. *** cackles ***

전자라면, 한 숟가락은 남쪽을 향하고 있고 다른 수저는 북쪽을 향했겠어요. *** 깔깔 ***

While Si-eun was distracted, Suho snatched his popsicle and went to work – all lips and tongue, very thorough about cleanup.

시은이가 정신이 없을 때, 수호가 아이스바를 낚아채고 작업에 들어갔겠죠 – 입술과 혀를 총동원하여. 정리 작업도 아주 철저하게.

Si-eun trembled, helpless against those fighter hands that could crack walnuts.

호두를 한 손에 으깰 수 있는 파이터의 손아귀에서 몸을 떨었겠고요.

Once caught in that grip, game over.

한번 그 손아귀에 잡히면, 게임이 끝나죠.

Face burning with embarrassment as things got messy, Si-eun begged for mercy.

상황이 엉키면서 부끄러움으로 얼굴이 타오르고, 시은이는 애원합니다.

The victorious fighter just smirked, “Let it go.”

승리한 파이터는 빙글 웃으며, “그냥 내보내”

(They’ll definitely need to time-travel for that towel from Dr Yeon’s clinic)

(분명히 연 클리닉에 있는 그 수건 가지러 시간 여행 해야 할 거 같아요)

Cheeky Jen

건방진 젠


세헤라자데의 연클리닉 시리즈를 1편부터 읽으려면 → 여기를 눌러주세요

Comment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